*로키산 중턱에 11mile 길이의 큰 호수이다. 필자가 산책 중 촬영하다*
서론) “백성들 중 승리자”라는 이름의 뜻을 가진 니고데모는 당대의 최고 지성과 최대 권력과 최상의 부귀영화를 누리는 자이다. 그는 금상첨화 격으로 종교적으로도 완벽한 바리새인의 최고 지도자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그는 사람의 눈을 피해 한 밤중 예수를 찾아야할 인생의 문제가 있었고 예수님 또한 그를 보았을 때, 그가 가진 모든 것을 모조품 행복이고 그가 거듭나야할 인생임을 아셨다.
1. 거듭남이란 무엇인가?
1) “다시 난다”(born again)이란 중생 또는 신생으로 번역된다.
2) 헬라어 원어로는 “아노센”(anothen)ㅇ로 그 뜻은 “위로부터”이다.
3) 이것은 위로부터 나는 “새로운 출생”, “재창조”를 의미한다.
4) 디도서 3장 5절에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중생의 씻음과....”
2. 거듭남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혈동으로 안된다-자연적 출생, 가문의 배경에 의존하지 않는다.
2) 육정으로 안된다-인간의 선행과 윤리와 도덕에 근거하지 않는다.
3) 사람의 뜻으로 안된다-사람의 종교 행위에 바탕을 두지 않는다.
4) 오직 하나님께로 난 자들만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있다
3. 거듭남의 도구는 무엇인가?
물과 성령이다. 물 곧 성령이다 하고 해도 된다. 물은 곧 말씀이기에 말씀과 성령이다.
1) 물을 세례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의 행위에 근거하게 된다.
(1) 세례 요한 이전 사람은 세례 못 받았다 (2) 예수님께서 세례를 베푸신 적이 없다
(3) 세례받는 것이 구원의 조건이 된다면 행위 구원이 되고 만다.
2) 물을 성령으로 보는 견해이다. 물 곧 성령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물을 말씀으로 보는 견해이다. (1) 말씀을 살린다(시119:50) (2) 말씀은 낳는다(고전4:15)
(3) 말씀은 거듭나게 한다(벧전1:23)
4) 성령님은 살리신다(요6:63). (1) 성령님 말씀과 함께 사역하신다. (2) 성령님은 창조의 역사를 주관하신다 (3) 성령님은 재창조(중생)의 역사를 주관하신다.
4. 거듭남 이후에 될 일은 무엇인가?
1) 거듭남은 출생으로 태어남이란 단회적 사건으로 결과적으로 이해된다.
2) 거듭남은 성숙과 거룩함으로 자라갈 영역으로 은혜 속에서 이루어야 한다.
3) 거듭남 성도는 이미 구원받았지만 그 구원을 이루어야 한다.
4) 거듭남이란 “이미”라는 시간과 성화 혹은 완성이란 “아직도”라는 영역이 있다.
결론) 하나님의 은혜로 거듭난 성도로서 더욱 성숙과 성화의 자리에 이르게 하소서!